회사소개

한성백제박물관 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4-09 06:08

본문

한성백제박물관 로비에서 개최한 서울시향 뮤지엄 콘서트 모습(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서울시는 전시 관람에 머물렀던 박물관·미술관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할 공연·체험을 선보인다고 9일 밝혔다.대표 프로그램으로는 △서울시립교향악단 '뮤지엄 콘서트' △한성백제박물관 '시민동행콘서트' △거리공연 '구석구석 라이브' △서울시립미술관의 '뮤지엄 나이트'가 있다.서울시향은 박물관·미술관에서 진행하는 실내악 공연을 연 12회 선보인다. 공연은 서울공예박물관·북서울미술관·송파책박물관 등에서 열린다.거리예술가들이 참여하는 구석구석 라이브는 박물관 앞마당을 무대로 바꿔 일상 속 예술을 시민에게 전달한다.뮤지엄 나이트는 서울시립미술관에서 도슨트 투어·야외영화상영·북콘서트·연주회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마채숙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박물관과 미술관이 열린 문화공간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b3@news1.kr 2030년 개통 예정인 도시철도 4호선(엑스코선)을 ‘철제차륜 자동안내차량(AGT)’이 아닌 모노레일 방식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시민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다.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은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4일까지 대구 시민 6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구 시민 2명 중 1명(49.8%)가량이 도시철도 4호선 차량방식인 철제 AGT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알고 있었다’는 시민은 32.1%, ‘3호선과 동일한 방식인 것으로 알고 있었다’는 응답은 18.1%였다. 또 응답자의 96%는 철제 AGT 방식의 도시철도 4호선 설치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차량방식 선호도 조사에서도 기존 3호선과 동일한 모노레일로 설치해야 한다는 응답이 57.7%로 가장 많았고 지하 방식이 28.4%로 뒤를 이었다. 철제 AGT 방식으로 설치해야 한다고 답한 시민은 4.8%에 그쳤다.대구도시철도 4호선은 수성구민운동장역에서 경북대, 엑스코를 거쳐 이시아폴리스까지 연결되는 총연장 12.4㎞ 철도다. 총사업비는 7756억원 규모다. 시는 지난해 2월 차량방식을 국내기술로 개발하고 상용화된 ‘철제차륜 AGT’로 채택했다. AGT는 철제차륜과 고무차륜으로 나뉘는데 시는 기술력, 승객 편의성, 안전기준 적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철제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다.대구안실련 관계자는 “대구시가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무시하고 있다”면서 “대다수 시민들이 반대하는 AGT 방식을 중단하고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